-
목차
하이러닝-수업 오늘 하이러닝을 활용하여 공개 수업을 실시하였습니다. 경기도교육청에서 개발한 AI 학습 도구 지원 플랫폼인 하이러닝에는 교사가 원활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로, 다양하고 유용한 학습 도구가 있어서 굉장히 수업이 편리하였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하이러닝을 활용한 영어과 수업의 예시를 통해 선생님들께서 이 학습 도구를 많이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하이러닝 수업 설계
하이러닝-영어-수업 하이러닝을 활용한 수업으로 맥락은 크게 3단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도입 단계에서는 영어 단어 shampoo와 관련된 본문을 읽기 전에, 삼푸의 유래와 관련된 영상을 시청 후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을 흥미를 가지고 읽기 학습에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개 단계에서는 while-reading activity의 일환으로 본문 학습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단어 퀴즈를 통해 학생들이 단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단어에 관한 지식을 사전에 알려주어 본문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Post-reading activity에서는 학생들이 샴푸의 유래와 관련하여 기점이 되는 연도와 샴푸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조별로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오늘 배운 내용을 퀴즈를 통해 복습한 후, 러닝로그 작성을 통해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스스로 오늘 배운 내용을 점검하고 한번 더 상기시키는 과정을 통해 자기관리학습역량을 증진시키도록 의도하였습니다.
2. 하이러닝 활용 수업 진행
1) 영어 단어 퀴즈
하이러닝-수업 영어 본문 시작 전에 단어를 복습하면서 학생들이 본문 읽기 활동 이해에 도움이 되는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였습니다. 좋은 점이 학생별 현황과 문항별 현황을 볼 수 있어서 학생들의 형성평가 활동의 일환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위에 사진을 보시면, 오답률이 많았던 문항을 위주로 한번 더 짚고 넘어가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2) 화이트보드 기능 - 읽기 활동
하이러닝-영어-수업 또한, 본문 수업 시에는 학생들에게 나누어준 프린트물을 같이 띄워놓고 필기하면서 학생들이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뒤에 앉아서 눈이 잘 안보이는 학생들에게도 전자 칠판의 역할을 하기에 아주 유용하게 활동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3) 조별 활동 협업 기능
하이러닝-조별활동 특히, 좋았던 점은 바로 이 하이러닝에서 조별활동 기능이었습니다. 조는 랜덤으로도 짤 수 있고, 번호순으로도 할 수 있지만 시간 관계상 자리에 앉아있는 대로 미리 직접 배치를 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협업 하면서 하나의 결과물(타임라인에 샴푸의 기원 역사순, 시간순으로 어떤일이 일어났는지 작성하기)을 만드는 과제였습니다. 교사는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조의 활동 진행상황을 돌아다니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또한, 각 모둠의 자세한 진행 상황을 알고싶으면 '입장하기' 버튼을 눌러 과제물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었습니다.
3. 하이러닝 수업 좋았던 점
하이러닝-수업-방법 하이러닝 수업하면서 좋았던 점은 교사의 설계된 수업의 방향대로 학생들과 함께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평소 수업시간에는 도입-전개-정리 순서로 수업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었다면, 하이러닝 학습을 통해 잘 짜여진, 잘 계획된, 잘 갖춰진 수업이 가능했다는 것입니다.
하이러닝-장점 학생들도 수업의 진행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에 학습의 목표가 잘 설정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업에 뒤쳐지는 학생없이 모두가 학습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4. 하이러닝 수업 아쉬웠던 점
하이러닝을 활용한 수업에서 아쉬웠던 점은 학생들과 눈을 바라보며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적었다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학생들과 눈을 맞추며 소통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런 상호작용보다 태블릿을 바라보며 수업이 진행된다는게 아쉬웠지만, 수업 설계와 학생 맞춤형 수업에 있어서는 정말 훌륭한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이 기능을 더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 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하이러닝을 활용한 영어과 공개 수업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습이 어떤 것인지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실제로 학습하는 것을 보면서 하이러닝에는 참 많은 교사들의 고민이 들어가 있는 플랫폼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많은 선생님들이 하이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수업을 실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교육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교육청 하이 러닝(High-Learning) 활용 수업 아이디어 (1) 2024.05.06 2022 개정 교육 과정의 이해: 학교 자율시간 운영 방법 알아보기 (0) 2024.05.06 OECD 학습 나침반을 통해 알아본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 (0) 2024.05.01 영어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해 교사가 추천하는 학습 방법 (0) 2024.04.30 학습 부진 학생과 함께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할 여섯 가지 단계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