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효과적인 읽기 수업을 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교육 정보 기술(에듀 테크, Edu-Tech)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구상하여 의미 있는 수업이 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효과적인 읽기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어떻게 교육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깊이 있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지 학생들이 만족하고 좋아했던 수업 방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읽기 전 단계, 읽는 과정 단계, 읽기 후 활동으로 어떻게 짜임새 있는 수업을 구상할 수 있는지 아래에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효과적인-읽기-활동 1. 읽기 전 단계(Pre-reading)
읽기 전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오늘 수업 시간에 배울 내용의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자료를 제공하여 이야기를 나눠보는 활동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오늘 배울 주제가 실생활과 연관이 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내 삶에 내재화시킬 수 있을지 고민해 보는 단계가 되기 때문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격적인 읽기 활동 전에 오늘 배울 내용에 등장하는 어려운 단어를 학습하여 학생들의 읽기 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자신감을 주어 적극적인 활동을 끌어내야 합니다.
1.1 브레인스토밍으로 동기부여 하기(Brainstorming)
먼저, 브레인스토밍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배울 주제가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면, 영상 플랫폼에 '일회용품 사용 캠페인'을 검색하여 환경과 관련된 실제 생활 속에서 볼 수 있는 TV 광고 캠페인이나 영화의 한 장면을 통해 그 경각심을 일깨워 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이 실제 자기 삶과 연계된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훨씬 더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1.2 오늘 읽기 지문에 나오는 단어 학습하기(Learning Vocabulary)
그다음으로 본격적인 읽기 활동 전에 오늘 학습할 읽기 지문에 등장하는 새롭고, 어렵고, 낯선 단어들에 대한 이전 경험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학습해야 할 내용이 익숙할수록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미리 어렵고 도전적인 단어들에 대한 내용을 사진 자료를 제공하거나 이미 앞서 배운 단어들과 연계하여 설명하여 제공한다면 단어를 기억하기에도 쉽고 앞으로 진행되는 수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입니다.
읽기-수업-에듀-테크 2. 읽는 과정 단계(While-reading)
읽기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때, 두 가지 전략을 가진 읽기 활동을 함께 실시할 수 있습니다. 바로, 훑어 읽기와 관련된 'Skimming 세부 정보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Scanning 활용하는 활동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 전략을 어떻게 활동에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2.1 소리 내어 읽어보며 전체 맥락 파악하기(Reading Aloud, Skimming)
첫 번째 활동은 '소리 내어 읽어보며 전체 맥락 파악하기. 즉, 학생들에게 3분의 시간을 주고 소리 내어 지문을 2번 정도 읽게 하면서 'Skimming 동시에 사용하여 글 전체의 주제와 맥락을 파악하게 할 수 있습니다. 소리를 내어 지문을 읽을 때 자신이 모르는 단어의 발음을 확인할 수도 있고, 읽는 과정에서 이 글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개별활동으로도 활용될 수 있고, 더 재밌게 전체 활동도 할 수 있습니다. 전체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으로 계획할 때는 제공된 지문을 누가 가장 빠르게 읽는지 '빠르게 읽는 사람'을 찾고 그 주제를 찾도록 하는 게임 형식의 활동도 할 수 있습니다.
2.2 세부 정보 찾아 읽기(Finding a Detail Information, Scanning)
빠르게 소리 내 읽어보며 글 전체의 맥락과 주제를 확인하였다면, 이번에는 세부 정보를 찾아 속으로 읽어보면서 'Scanning 통해 글의 내용 일치 여부나 자세한 정보를 찾는 활동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교사가 글 속에 관련된 내용이 맞는 내용인지 O/X 퀴즈 형식으로 문제를 먼저 제공하고, 이 퀴즈 정답의 근거를 찾는 활동을 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반복해서 지문을 읽다 보면 배웠던 사전 지식과 단어 정보를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글을 읽는 것이 아니라 글을 읽을 때 필요한 '정보'나 '목적'을 가지고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3. 읽기 후 활동(Post-reading)
사실, 읽기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읽기 후 활동에서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와 관련된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주로 읽기 후 활동이 끝나면 '주인공에게 글 써보기', '작가가되어 뒷 내용 예측해 보기', '관련된 주제로 글 작성해 보기'와 같은 활동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은 실제로 수행평가가 아닌 이상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며 학생들에게 즐거움의 요소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게임 활용하여 학습 정리하는 방법과 오늘 배운 내용을 글로 작성하여 자기주도학습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3.1 게임 활용하여 정리하기(Playing a Game)
먼저, '카훗(Kahoot)'이라는 게임 플랫폼이나 '클래스카드(Class Card)'와 같은 수업 자료 제작 플랫폼, 혹은 메타버스 공간으로 방에서 탈출하는 게임인 잽(ZEP)을 활용하여 오늘 배운 단어와 내용에 관한 문제를 작성하여 게임으로 마무리하는 것입니다. 저는 실제로 교실을 하나의 메타버스 공간으로 만들어 이 교실에서 탈출해 보는 '방 탈출 게임'을 잽(ZEP) 플랫폼을 활용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교실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열쇠 것을 통해 문을 열어야 하는데, 이 문을 여는 '열쇠'는 '정답'을 의미하고, 문을 열기 위해서는 제시된 질문에 알맞은 대답을 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교사가 제공하는 퀴즈에 정답(열쇠)을 넣어 문을 모두 열면 방에서 탈출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엄청난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며, 수업 시간에 참여를 제대로 하지 않았어도 마지막 게임 활동을 통해 오늘 학습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3.2 오늘 배운 내용 글로 작성하기(Writing Learning Log)
마지막으로, 오늘 배운 내용을 글로 작성하여 자기평가를 해보는 시간을 3분 정도 제공합니다. 학습일지(Learning Log)를 쓰도록 하면서 학생들은 오늘 나의 수업 참여 태도는 어땠는지, 오늘 어떤 것을 배웠는지, 오늘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평가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를 기를 수 있고 오늘 배운 내용을 한 번 더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면서 그 의미를 내재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효과적인 읽기 활동 수업을 위한 교육 정보 기술 활용 수업을 저의 사례와 연관 지어 설명해 드렸습니다. 읽기 활동은 자칫하면 지루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읽기 전 과정에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한 브레인스토밍과 단어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이끌어야 하며, 읽기 활동에도 훑어 읽기와 세부적인 정보를 찾는 전략을 사용하는 읽기 학습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활동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읽기 후 활동에서 메타버스나 인공지능 기술을 겸비한 교육 정보 기술 활용 플랫폼으로 게임을 하고, 오늘 배운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효과적인 읽기 학습을 실시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교육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실에서 찾아 보는 성공적인 제2 언어 학생들의 정의적인 특징과 그 실제 (0) 2024.04.18 현직 영어 교사가 생각하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실제 나의 노하우 (1) 2024.04.16 쓰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활동 (0) 2024.04.15 현직 영어 교사가 알려주는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학습 방법 (0) 2024.04.12 다중언어 사용의 중요성: 뇌의 유연성, 도전 그리고 교육 (0)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