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대부분의 영어 학습자는 읽기 및 듣기와 관련된 'Receptive Skills'에 더 익숙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Productive Skills'를 함양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은 읽기와 듣기 활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쓰기와 말하기 활동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에 항상 아쉬웠습니다. 오늘은 많은 영어 학습자가 궁금해하는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평소에 어떤 활동이 도움이 되며, 교실에서는 어떠한 활동을 하는 게 좋은지 그 효과적인 수업 활동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쓰기-말하기-효과적인-학습-활동 1. 쓰기 활동
쓰기 활동은 학생들에게 충분한 목표 언어(Target Language) 학습을 제공해야 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단어를 찾아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실제로 교실에서 쓰기 활동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태블릿을 나누어주고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의 단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번역기를 사용하는 학생들도 있는데 이에 대해 크게 저지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학생들에게 번역기 사용의 장점,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등을 알려줌으로써 변화하는 사회에 맞게 등장하는 새로운 영어 학습 도구를 소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합니다. 다음은 제가 학생들과 소통하면서 효과를 봤었던 쓰기 활동과 관련된 수업 활동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1 템플릿(Template) 제공 학습
중, 하위권 학생들에게 많이 효과를 봤었던 쓰기 활동은 템플릿(Template)을 제공한 쓰기 학습 활동입니다. 교사는 목표 언어(Target Language) 표현과 관련된 많은 문장의 예시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이를 따라 써보도록 합니다. 그다음, 몇 개의 단어만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목표 언어 구조를 활용하여 문장을 완성해 보도록 합니다. 마지막에는 교사가 아무런 가이드를 제공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표현하고 싶은 말을 표현해 보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쓰기 활동의 목표가 '현재완료의 용법 중, 경험 살펴보기'라면, 학생들에게 현재완료(have와 과거분사)의 형태와 ' ~한 적 없다) 문장을 제공하고 따라 써보기 활동을 합니다. 이는 현재완료가 쓰인 문장들의 템플릿(구조)을 확인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학생들에게 'Korean food, eat'이라는 단어와 '나는 한국 음식을 먹어본 적 있다.'라는 문장을 작성해 보도록 합니다. 학생들이 'I have ever eaten Korean food.'를 작성할 수 있다면, 마지막으로는 '내가 해 본 경험과 관련된 문장 자유롭게 만들어보기' 활동을 하며 학생들이 현재완료의 문법적 형태와 그 용법을 이해하도록 이끌 수 있습니다.
1.2 가이드라인 제공의 학생 맞춤형 학습
중, 상위권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쓰기 활동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학생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본격적인 글쓰기에 앞서서 학생들에게 글 작성에 필요한 내용을 가이드라인이 되는 '질문'의 형태로 제공하여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전부 모아 글을 쓰면, 하나의 글이 작성되는 형태의 학습 방법입니다. 제가 실시했던 수행평가 중 하나는 '좋아하는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문 쓰고 발표하기' 평가가 있었습니다. 1차시에서 학생들이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글을 쓸 때, 글감이 되는 내용에 대한 있어야 글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단순히 자료를 찾는 데 멈추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찾은 내용을 어떻게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제시된 질문들에 대해 답변하는 과정에서 자료를 찾으며, 가이드라인에 맞는 글쓰기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1.3 일기(Daily Diary) 작성하기
상위권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쓰기 활동은 일기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저는 교과 보충 학습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학생들 5명과 함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일주일에 3번씩 일기를 작성하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일기를 작성하는 글을 사진과 함께 올리면, 저는 댓글에 영어로 학생에게 칭찬을 해주었고 피드백과 관련된 내용을 개별 Direct Message)로 보내주었습니다. 학생들은 이 활동에 매우 흥미 있게 참여하였고, 실제로 자신이 영어로 오늘 있었던 일을 표현하는 데 자신감이 많이 붙어서 제가 따로 이야기하지 않아도 매일매일 글을 올리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이 일기 작성하는 방법은 실제로 많은 영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는데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 '피드백'일 것입니다. 이를 위해 자신이 쓴 내용을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내 글이 어법적으로 맞는지 피드백해달라고 하면 질 높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말하기-능력-효과적인-활동 2. 말하기 활동
언어를 배울 때,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의 네 가지 영역 중 '말하기 대한 스킬이 가장 늦게 발현됩니다. 모국어를 습득할 때는 말하기 기능이 가장 먼저 발달하면서 자연스러운 습득이 가능하지만, 제2 언어를 학습할 때는 말하기 기능이 가장 늦게 발달 되며, 자연스럽게 습득되지 않기에 반드시 연습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말하기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입니다.
2.1 개별(Individual) 활동: 따라 읽기
개별적으로 말하기 실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은 '따라 읽기'입니다. 쉽게는 교과서나 영어 동화책 읽기에서 어려운 난이도로는 뉴스 읽어보기 활동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말하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적으로 편안한 환경 속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줄 아는 것입니다. 여기서 읽기 활동은 'Reading'이 아니라, 'Reading Aloud'입니다. 그래서 저는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수업 시작 전, 오늘 배울 지문을 반드시 읽어보도록 지도합니다. 실제 수행평가로 영어 동화책 읽는 수행평가를 실시한 적도 있었고, 영어 뉴스 대본을 아나운서처럼 읽어보기 활동도 하였습니다. 말하기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 밖으로 '소리'를 내는 것이기 때문에 영어로 말하기가 두려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2.2 발표(Presentation) 활동: 대본 작성하고 암기하기
또한, 개별적으로 말하기 실력을 향상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안은 청중 앞에서 '발표하기활동입니다. 많은 영어 학습자는 준비 없이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지, 암기해서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진 않습니다. 준비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전까지는 말하기의 내용을 먼저 준비하고 이를 암기하여 소리를 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에 대한 활동으로 '발표 활동'이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어떠한 주제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글을 먼저 써본 후, 이것을 암기하여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자신이 좋아하는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문 쓰고 발표하기'에서 학생들에게 감상문을 쓰는 활동은 '쓰기 수행평가'로 진행했었고, 이것을 암기하여 발표하는 것을 '말하기 수행평가'로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자신이 쓴 글에 대해 자신감이 있었던 모든 학생은 이 대본을 암기하고 많은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는 데 두려움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3 짝꿍(Pair Work) 활동: 지속적인 대화 하기
마지막 활동은 친구와 함께, 혹은 그룹에 속해서 지속해서 대화를 해보는 것입니다. 사실 의사소통의 목적이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의견을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실에서도 학생들에게 주말에 있었던 일이나 갔던 장소를 친구와 함께 대화해 보도록 합니다. 학생들은 처음에만 익숙하지 않아서 어려워하지만, 매주 월요일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신이 주말에 어디에 가서 무얼 했는지 쉽게 이야기합니다. 지속적인 대화를 할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면서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주 월요일에 영어 대화 활동을 하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자신이 짝꿍과 어떤 대화를 할지 미리 준비하여 외워 오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영어를 배우고, 익히고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됩니다. 이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AI와 대화를 하는 형식으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많은 영어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쓰기와 말하기 실력을 향상하기 위해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에 관해 설명해해 드렸습니다. 쓰기 활동에서는 템플릿을 제공한 학습, 가이드라인을 제공한 학생 맞춤형 학습, 그리고 일기 작성을 통한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쓰기 활동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또한, 말하기 활동으로 개별 학습에 효과적으로 따라 읽기, 대본 작성하고 암기하여 발표하기에 대해 알려드렸고, 짝 활동의 하나로 지속적인 대화 하기에 관해 설명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과 학습 방법은 학교에서 실시할 수 있는 활동일뿐만 아니라,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개인이 학습하기에도 적절하므로 쓰기, 말하기 실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교육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직 영어 교사가 생각하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실제 나의 노하우 (1) 2024.04.16 효과적인 읽기 수업을 위한 교육 정보 기술(에듀 테크, Edu-Tech) 활용 수업 공유 (0) 2024.04.15 현직 영어 교사가 알려주는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학습 방법 (0) 2024.04.12 다중언어 사용의 중요성: 뇌의 유연성, 도전 그리고 교육 (0) 2024.04.12 학생들의 쓰기, 말하기 실력 향상을 위한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 노하우 (1)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