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성공적인-제2-언어의-정의적-특징
제2 언어 학습에 대해 어떻게 학습자가 느끼고 받아들이는 지는 성공적인 제2 언어 습득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구체적인 정의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제2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로 교실에서 수업을 해보면 제2 언어로 하는 많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이 대체로 정의적 요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많이 깨닫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학습자가 궁금해하는 제2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Self-Esteem), 귀속 이론과 자아 효능감(Attribution Theory, Self-Efficacy),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의 관점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실제 교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제2 언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학생들의 특징과 그 실제 방안에 대해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1. 자아존중감(Self-Esteem)
자아존중감은 제2 언어 습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언어 습득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정도, 자존감, 그리고 자아효능감은 학습자가 자신이 성공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자아존중감의 정의를 풀어서 설명해 드리자면, 학습자가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학습 동기, 자신감을 향상하게 시켜 성공적인 제2 언어 학습으로 이끌 수 있는 요인입니다. 자아존중감의 일반적인 정도는 세 가지 개념으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 자아존중감, 특정 자아존중감, 과제 자아존중감이 있는데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일반적 자아존중감(General/Global Self-Esteem): 학습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입니다. 즉, 전체적인 자아 평가에 관한 자아존중감을 의미합니다.
- 특정 자아존중감(Situational/Specific Self-Esteem): 학습자가 특정 상황이나 측면에서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도입니다. 즉, 특정한 영역에 대한 자아존중감 수준을 의미합니다.
- 과제 자아존중감(Task Self-Esteem): 학습자가 특정 활동이나 과제에 대한 자아 평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학습과 관련된 과제나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어떤 특정한 스포츠 활동에 관한 자아존중감 수준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의 자아존중감 방식은 학습자가 각각의 상황과 행동 및 특정 과제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제2 언어 학습뿐만 아니라 다른 과제에 대한 동기부여와 대응 방법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습자들을 다른 학습자들보다 훨씬 더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학습하는 과정에서도 실수나 어려움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계속 노력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실제로 교실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이 모르는 내용과 낯선 환경이 제공되어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극복하려는 긍정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이 실수할 거라는 두려움과 실수했을 때, 교사나 다른 또래 학생들로부터 받을 것 같은 질타의 감정이 그들을 두렵게 만들어 자아존중감을 낮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해 주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이 실수할지라도 긍정적인 피드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제2 언어를 사용했을 때 두려움이 없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수업 외에도 학생들과의 신뢰 관계(공감대) 형성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길러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귀속 이론과 자아 효능감(Atrribution Theory and Self-Efficacy)
귀속이론은 학습자가 얼마나 자기 자신의 성공과 실패에 관해 설명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역량입니다. 이 이론은 감정적 상태와 태도가 제2 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에, 학습자가 긍정적이고 행복한 감정 상태에 있을 때 언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된 자아 효능감이란, 학습자가 자신이 주어진 과제를 잘 이행할 수 있을 거라고 믿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학습자 개인이 특정 과제를 받게 되었을 때 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거라는 자기 자기 능력에 대한 믿음입니다. 자아 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공부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며 언어 사용 환경에서도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합니다.
실제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보이는 귀속 이론과 자아 효능감에 대한 정의적 측면은 앞서 설명해 드렸던 자아존중감의 태도와 연결이 됩니다. 학생들이 받게 되는 과제가 난도가 있고 어려우면 자아 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낮아집니다. 학생들이 그 특정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그 믿음을 줄 수 있는 방안은 바로 학생 맞춤형 과제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장을 완성해야 하는 활동이 주어진다면 하위권의 학생들에게는 태블릿이나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검색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중위권의 학생들에게는 적절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어나 문장의 형식을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교실-정의적-특징 3. 의사소통에 대한 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의사소통에 대한 의지(WTC)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학습자가 어려움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상대방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이 의사소통에 대한 의지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실제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사실 교실에서 제2 언어로 학생들과 소통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한국 교육의 정서상, 영어 교육은 대부분 입시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읽기, 어법, 단어, 쓰기, 듣기에 초점이 맞추어진 교실 수업에서 말하기 수업을 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영어를 배우는 목적이 단순히 '입시'가 아니라 '의사소통 역량'을 갖추는 것임을 학생들에게 주지시켜 주며 제2 언어로 의사소통했을 때, 실수를 안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틀려도 조금이라도 표현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이처럼 성공적인 제2 언어 학습을 위해서 학습자가 가져야 할 정의적 요인을 살펴보았습니다.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그리고 의사소통에 대한 의지는 높을수록 성공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의적 요인들을 토대로 성공적인 제2 언어 습득을 위해 긍정적인 감정 상태와 마인드를 가지고 학습에 임해야 합니다.'교육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깊이 있는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0) 2024.04.19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행 영어 프로젝트 활동 (1) 2024.04.19 현직 영어 교사가 생각하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실제 나의 노하우 (1) 2024.04.16 효과적인 읽기 수업을 위한 교육 정보 기술(에듀 테크, Edu-Tech) 활용 수업 공유 (0) 2024.04.15 쓰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활동 (0)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