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화용론과 대화의 구조 이해
화용론과-대화의-구조 언어학에서 화용론(Pragmatics)은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과 그 의미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화용론은 대화의 구조뿐만 아니라 언어를 통해 어떻게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관해 연구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이 궁금해하시는 화용론의 개념과 역사, 대화의 특징과 구조, 대화 분석과 실제 응용에 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화용론의 개념과 역사
화용론은 언어학의 한 분야이며,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과 의미를 분석하여 의사소통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어떻게 사람들 간 상호작용하면서 의사소통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화용론의 역사는 20세기 초반부터 그라이스와 제임스에의해 연구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찰스 샌더스 페어스가 쓴 "The Meaning of Meaning(1923)" 책에서 화용론의 초기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제임스과 그라이스는 이를 통해 언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 그 언어가 쓰인 상황과 맥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였습니다. 20세기 중반부터는 J.L. 오스틴의 저서 "How to Do Things with Words"에서 대화의 의미와 구조를 탐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이 책 속에서 화행 이론을 발표하면서 언어가 가진 기능을 행위(Performative)와 표현(Ative)으로 구분하면서, 인간이 소통하는 언어 행위의 의도는 무엇이며, 어떠한 효과를 창출해 내는가를 중점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J.L. 오스틴의 화행 이론은 프라겔과 사스어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프라겔은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을 중요시하였으며, 어느 문맥과 상황에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언어의 의미가 달라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사스어는 언어가 가진 사회적 및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며 언어의 행위에 어떠한 기능적 측면이 있는지 연구하였습니다. 이러한 화용론의 연구는 시퍼트와 그라이스에 의한 "Speech Acts(1989)"에서 새로운 개념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시퍼트와 그라이스의 협력으로 그들은 오스틴의 화행 이론을 보충 및 확장하여 대화의 구조와 언어 행위에 어떠한 의미성을 지니고 있는지 연구하며 화용론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2. 화용론적 관점에서의 대화의 특징 및 구조
화용론적 관점에서의 대화의 특징은 맥락의 중요성, 상호작용과 상호이해, 화행의 다양성, 문맥 의존성의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먼저, 화용론에서는 대화가 맥락에 근거하여 그 의미가 결정된다고 생각하기에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맥락은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 배경, 그리고 참여자들의 관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으로 발화의 의미가 결정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둘째, 화용론에서는 대화는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작용의 과정을 중요시합니다. 대화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방의 발화에 반응하고 이해하며 적절하게 응답하면서 대화가 진행된다는 관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셋째, 화용론은 언어적 행위라고 하는 대화의 화행을 중요한 관점으로 바라봅니다. 단순히 발화의 기능이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목적과 의도에 따라 희망 표현하기, 명령하기, 정보 전달하기 등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대화는 문맥이 반드시 있어야 완전히 언어를 이해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해당 문맥에 따라 발화의 의미가 완벽하게 이해될 수 있기에 대화는 문맥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맥은 대화 참여자들이 처한 상황, 경험, 지식 등을 반영하고 있기에 이를 고려해야 발화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화용론적 관점에서 대화의 구조는 발화와 응답의 교환, 발화의 구성요소, 상호작용 패턴, 화행의 구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먼저, 대화를 구성하는 것은 발화의 응답과 교환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집니다. 한 명의 대화 참여자가 발화하면 다른 상대 참여자가 이에 대해 대답(응답)합니다.. 이러한 발화-응답 패턴의 지속적인 교환을 통해 대화의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다음으로 발화는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발화의 구성 요소는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문법적으로 새롭게 조합되어 의사소통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 전달의 도구로써 활용됩니다. 또한, 대화는 지속적이고 일정한 상호작용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화 참여자들은 발화와 응답의 패턴을 가지고 대화를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 패턴은 대화가 어떻게 흘러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화 속에서는 다양한 화행법이 존재합니다. 의사소통 목적에 따라 미안함 표현하기, 감사함 표현하기, 요구하기 등의 화행이 있습니다. 각각의 화행은 대화 및 의사소통의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있기에 발화의 순서와 종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3. 대화 분석과 실제 응용
화용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대화 분석 방법으로는 맥락 분석, 화행 분석, 상호작용 분석, 문맥 분석으로 나누어집니다. 대화를 분석하면서 대화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 목적과 과정 및 결과를 이해하는 데 매우 필요합니다. 대화 분석에서는 대화 참여자들의 관계, 처한 상황,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의사소통 목적인 화행 분석을 통해 대화의 목적과 의도를 파악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발화와 응답 패턴의 상호작용과 발화의 문맥을 이해하여 전체적인 발화의 의도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화분석을 통해 실제로 언어학과 의사소통 연구, 상담 및 치료, 교육적 분야 그리고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화용론적 이론을 바탕으로 대화의 맥락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효과적인 상담과 치료 전략을 계획하기 위해서 화용론적 이론은 대화의 맥락과 화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필수적입니다. 학교에서도 교사들은 대화 분석을 통해 학생들과 상담하거나 교육적으로 학습 과정을 지원하고 맞춤형 교육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화용론적 대화 분석은 인공지능을 탑재한 컴퓨터와 인간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도 활용됩니다.
오늘은 화용론의 개념과 역사, 대화의 특징과 구조, 대화 분석과 실제 응용에 관해 자세히 알려드렸습니다. 화용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대화 분석을 통해 실제 대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과정과 특성을 이해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개발 및 실제 생활에 더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교육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 언어학과 외국어교육 (0) 2024.04.01 음성 음운론: 소리의 체계적 분석 (0) 2024.03.31 언어학 관점에서 바라보는 언어 변화와 변이 (0) 2024.03.28 언어와 정체성(identity) 형성 간의 관계 (0) 2024.03.25 소리와 음성의 언어학적 분석을 통한 음악 이해 (0) 2024.03.18